사회IN
Home >  사회IN  > 

실시간뉴스

실시간 기사

  • 복지부, 신약개발 지원 확대 및 약가·세제 등 인센티브 강화
    (오픈뉴스=opennews0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작년 47개 혁신형 제약기업의 다양한 성과를 공유하고, 2017년 국내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 현장 간담회'를 11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해외기술이전, 해외시장 진출, 신제품 출시, 국제공동연구, 국내외 투자 등의 분야에서 혁신형 제약기업이 이룩한 다양한 성과를 공유하고 국내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제약업계의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면서 올해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작년에 47개 혁신형 제약기업이 이룩한 기술이전, 해외시장 진출, 신제품 출시, 국제공동연구, 국내외 투자 등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종근당 등 7개 기업이 일본, 중국 등에 8개 기술을 이전해 약 2조6천억 원(비공개 계약 1건 미포함, '16년 기술이전 총계 약 3조 원 추정)의 성과를 달성했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와 SK케미칼이 개발한 바이오신약 '앱스틸라(A형 혈우병치료제)'가 미국 FDA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 국내 제너릭의약품 중 대웅제약의 '메로페넴주(항생제)'가 최초로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 그 밖에 LG생명과학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5가 혼합백신인 '유펜타 주사(디프테리아, 파상품, 백일해, B형간염, 뇌수막염)'와 녹십자의 4가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가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심사(PQ) 승인을 획득하는 등 성과를 달성했다. 한미약품이 개발한 폐암 표적항암제 '올리타정'이 국내 27호 신약으로 식약처 허가를 획득했다. 메디톡스의 세계 최초 복합 단백질 제거 보툴리눔 톡신 A형 제제 '코어톡스', 셀트리온의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 보령제약의 고혈압 복합제 '투베로정', 신풍제약의 소아용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과립(개량신약) 등이 식약처로부터 시판허가 등을 획득했다. 유한양행이 미국 Genosco사(오스코텍의 자회사)와 비세포성 폐암의 주 재발원인 4세대 EGFR 키나제 삼중돌연변이 단백질 표적 억제 신약 공동연구를 추진했다. 그리고 녹십자가 충북 오창에 혈액제제 생산시설인 'PD(Plasma Derivatives) 2관'을 완공해 시제품을 생산하는 등의 실적을 달성했다. 이러한 혁신형 제약기업의 사업성과 등을 올해에 더욱 높이기 위해 종근당 김성곤 연구소장이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전략 등을 소개했다. 또, 제약업계를 대표해 제약협회가 신약개발 R&D 지원 확대 및 세제 추가지원 등 업계의 건의사항을 발표했다.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지속적인 R&D 투자, 해외시장 진출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Top 7'에 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국장은 또한, "복지부도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부처와 협력해 신약개발 R&D 지원을 확대하고, 바이오 베터·시밀러, 개량신약을 포함하여 국내개발 신약에 대한 약가·세제 등 인센티브를 늘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 국장은 아울러 "혁신형 제약기업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은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되는 자문단 등을 통해 '제2차 제약산업 육성 종합계획'에 반영해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사회IN
    2017-01-11
  • 건국대 연구팀, 새로운 체내 형성 유도만능줄기세포 첫 수립
    (오픈뉴스,opennews) 건국대 연구팀이 주로 체외에서 세포 배양을 통해 만들어지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체 내에서 역분화 인자 발현을 유도해 체내에서 만능성을 가지는 형태로 새롭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2016학년도 줄기세포재생생물학과) 도정태 교수팀은 역분화 유도 생쥐(reprogrammable mouse)라는 새로운 형질전환 생쥐 실험을 통해 기존에 체외에서 세포배양을 통해 만들어지던 체외 유도만능줄기세포와 똑같은 만능성을 가진 ‘체내 형성 유도만능줄기세포 (in vivo iPS cells, 또는 in vivo rPS cells)’를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6일 밝혔다. 도 교수팀의 이같은 연구를 담은 ‘생체 내 형성된 유도만능 줄기세포와 체외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비슷한 특성’ (In vivo reprogramm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teratomas share analogous peroperties with their in vitro counterparts)”논문은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에서 발행하는 세계적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rots) 8월28일자에 게재됐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분화된 체세포에서 역분화 유전자의 과발현 시스템을 통해 만능성을 획득한 세포이다. 이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주로 체외에서 세포 배양을 통해 만들어진다. 하지만, 체 내에서 역분화 인자 발현을 유도하여 체 내에서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 최초의 체내 유도만능줄기세포는 2013년 네이처에 발표되었는데, 체내에서 만들어진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태반조직으로 분화가 가능한 전능성(totipotency)의 특징을 보인다고 보고됐다. 건국대 도정태 교수팀은 체내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새로운 형질전환 생쥐를 제작하였다. 즉, Oct4-GFP를 발현하는 역분화유도 생쥐(reprogrammable mouse)를 생산하였는데, 이 생쥐는 독시사이클린이라는 항생제를 먹이면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들이 역분화 인자인 Oct4, Sox2, Klf4, c-Myc을 발현하여 테라토마라고 하는 종양이 생기는 생쥐이다. 독시사이클린 처리 이후 형성된 테라토마에서 만능세포가 존재 하면 초록형광단백질(GFP)이 발현하는데, 이 세포를 분리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수립하였다. 이렇게 수립된 세포가 “체내 형성 유도만능줄기세포 (in vivo iPS cells, 또는 in vivo rPS cells)”이다. 이 방법은 기존 네이쳐에서 발표된 방법보다 진보된 방법이며, 특이한 것은 기존에 발표된 체내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특징과 다른 특징을 보였다. 즉, 태반세포로 분화가 되는 전능성이 아닌 태반세포로 분화가 안 일어나는 만능성을 띄고 있었다. 즉, 체내에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전능성의 특징을 보다는 기존 체외 유도만능줄기세포와 같은 만능성 특징을 보인다. 도정태 교수는 “이 결과는 기존 네이처에서 보고된 결과를 반박할 수 있는 새로운 결과로, 체내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정의를 다시 쓰게 됐다”고 밝혔다.
    • 오픈BIZ
    • ICT/과학
    2015-09-06
  • '냄새 맡는’ 전자피부 세계 최초 개발
    (오픈뉴스,opennews) 앞으로는 스마트폰이나 로봇이 우리 주변에서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즉시 ‘냄새’를 맡아 알려주거나 접촉한 사람의 체온과 땀의 정보를 분석해 건강상태를 체크해주는 일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런티어 ‘나노기반 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은 촉각, 온도, 습도는 물론 인간의 피부가 감지할 수 없는 다양한 유해가스 및 유기용매 등을 분별하는 ‘냄새 맡는 전자피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전자피부는 물체가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전기용량’ 특성을 이용했다. 연구진은 압력, 터치와 같은 촉각뿐만 아니라 온도 및 습도, 유해가스 및 유기용매에 의해서도 전기용량이 변화한다는 점에 착안해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우선 연구진은 기체 상태의 물질을 피복하고자 하는 소재의 표면에 흐르게 해 화학반응을 통해 얇은 막을 형성하는 기술화학기상증착법(CVD)를 통해 전기전도도와 탄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합성했다. 또 이를 기반으로 착용형(웨어러블) 압전전기용량(piezo-capacitive) 방식의 소자를 만들었다. 이 소자는 휘어지고 늘어나는 피부로서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지금까지 보고된 촉각 감지 중심의 전자피부와는 달리 하나의 소자가 촉각과 후각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전자피부(e-skin)는 웨어러블 건강진단기기, 감각을 느끼는 디스플레이, 다기능성 로봇 피부 등 응용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분야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그동안 보고된 대부분의 전자피부들은 압력, 응력, 터치와 같은 촉각형 자극에 대한 민감성 향상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생리학적으로 촉각형 자극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변화를 복합적으로 감지하는 인간의 피부를 모방하는데 큰 한계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주도한 김도환 숭실대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는 “향후 차세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극한 환경 및 사고 감지용 스마트 로봇피부 등 인간 친화적 전자기기 구현을 위한 원천기술로 응용되어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이달 말에 재료과학분야 세계적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 28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현재 연구팀은 관련 기술로 2건의 국내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나노기반 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오픈BIZ
    • ICT/과학
    2015-07-17
비밀번호 :